다시 마찰 빚는 한중관계, 中의 사드 사찰 요구는 우리 주권에 대한 침해
평창 성공은 중요하지만 북한이 참여한다 해도 남북관계는 변화 없을 듯
‘인도 태평양 구상’ 참여 등 외교 분산투자 실천하고 저자세 아닌 당당 외교 펼쳐야
최강 아산정책연구원 부원장
한중 관계 개선 협의 결과를 발표한 이후 변화의 조짐이 있던 한중 관계가 다시 사드 문제를 놓고 마찰을 보이고 있다.
중국은 ‘입구론’, 한국은 ‘출구론’에 서 있다. 중국 측은 ‘10·31 협의 결과’를 기점으로 사드 문제 해결을 위한 추가적인
조치를 취하라는 입장이고, 한국은 일단 사드 문제는 현 상태에서 봉합하고 북핵 문제 등을 포함한 문제에 관한 양국 간
협력을 추진하자는 입장이다.
사드 레이더 주변에 차단벽을 쌓고 중국군의 사찰을 수용하라는 중국의 주장은 우리의 주권과 생존권에 대한 존중은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중국이 자국 내 군사기지에 대한 물리적 제한조치를 실시하고 외국의 사찰을 수용한 적은 단 한 번도 없다.
그러면서 다른 나라에 대해 이렇게도 무리하고 무례한 조치를 요구하는 중국의 고압적인 태도는 절대 용납돼서는 안 된다.
‘10·31협의 결과’가 중국에 칼자루를 넘겨주었다는 평가가 현실로 나타난 것이 정말 개탄스럽다.
[보안 필터 작동]
최근 중국이 미국 인도 베트남 등을 대하는 태도에서 강한 자에게는 유화적인 태도를 보이고, 약한 자에게는 압박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중국이 우리를 강한 상대라고 인식할 때 우리가 원하는 것을 취할 수 있다. 따라서 중국과의 건강하고 호혜적인 관계를 만들어 가기 위해
우리도 당당하고 강한 자세를 견지해야 한다. 중국의 무리한 요구는 거부하고 우리가 요구할 것은 당당히 요구해야 한다. 시간에 쫓겨서
타협하는 것도 지양해야 한다.
문재인 정부가 중국을 대하는 것을 보면 뭔가에 쫓기는 듯한 인상을 준다. 아마 내년 2월부터 시작되는 평창 겨울올림픽을 계기로 한반도
상황을 전환하고자 하기 때문이 아닌가 한다. 이를 위해 한중 관계 개선이 필요하고 한중 정상회담을 개최해야 한다는 시간표를 가지고
움직이는 것처럼 보인다.
="" 1#csidxe3cc5af1feded968e3d0cc6ac1a2935="" 87477541="" 20171128="" all="" newsstand="" news.donga.com="">
너희들도 굽신대는 놈들 등쳐먹지 않느냐? 중국놈들이 네놈들보다 더 할 거라는 생각은 못 했느냐! 이 멍청한 놈들아!
조두순 사건 조두순 얼굴 이스라엘